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아자 사회2부 황규락 기자 나왔습니다. <br><br>Q. 오늘 상당히 긴박하게 흘러갔는데요. 오전에는 노사간 협상이 틀어졌다는 소식이 흘러나왔는데, 오후 들어 다시 바뀌었네요.<br><br>[기자]<br>=오늘 하루 정말 긴박하게 움직였습니다. <br> <br>하청지회와 협력사 대표들은 지난 15일부터 비공개 교섭을 진행하면서 임금인상률에 대해서는 입장 차이를 좁혔습니다. <br><br>협력사는 올해 4.5% 인상을, 하청지회는 올해 5%, 여기에 내년 10% 인상을 제시한 상태인데요. <br> <br>협력사 측은 "내년 경영 환경이 불확실한 만큼 받아들이기 어렵다"고 난색을 표하면서 오늘 오전 협상 분위기가 다시 냉랭해졌다고 합니다.<br> <br>참 쉽지 않겠다 싶었는데, 오후 3시쯤 고용노동부 장관이 갑자기 거제로 내려간다는 소식이 들렸습니다. 장관이 노사를 직접 만난다는 건데요. 이 때부터 타결되는 거 아니냐는 말이 나왔고요. 정부 관계자도 "분위기가 나쁘지 않다"고 말했습니다. <br><br>Q. 시청자 분들은 이 대목에 관심이 많은 것 같습니다. 불법 파업으로 인한 피해를 노조가 손해배상을 해야 하는지, 그게 사측도 일부 책임이 있는 건 아닌지 물어오시네요.<br> <br>=현재 가장 큰 쟁점입니다. 하청 노조가 이번 분쟁에 대한 민형사상 소송을 제기하지 않겠다는 합의를 해달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사실 피해가 상당합니다. 하청 노조가 점거하고 있는 곳이 조선소 1도크입니다. 이 안에는 배 4척이 있는데, 3척은 절반 가량, 한 척은 다 만들어졌습니다. <br> <br>다 만든 배는 바닷물에 띄워서 이상 없는지 봐야하고 나머지 3척도 빨리 만들어야 하는데 지금 작업을 못하고 있습니다. 이렇게 되면 배를 주기로 한 날짜를 못 맞추게 되겠죠. 그 피해가 6000억 원 가량 됩니다. <br> <br>여기에 인건비까지 더하면 피해액이 7000억 원을 넘는다는 게 대우조선의 주장입니다. <br> <br>그래서 노조의 요구를 못 받아들인다는 겁니다. 소송을 제기하지 않으면 경영진이 오히려 배임 소송을 당할 수 있다는 거죠. 장관이 이 부분을 중재할 수 있을지가 관건입니다. <br><br>Q. 노사 갈등에 이어 노노갈등 양상이 벌어지고 있는데, 대우조선해양 노조는 민주노총을 탈퇴하겠다며 투표를 한다고요? <br><br>=사실 파업 참여자가 많지는 않습니다. 하청노조 소속 직원은 400명 정도인데, 이 중 실제 참여하는 노조원은 120명 정도입니다. 전체 하청업체 직원 1만1000명 중 1% 가량인 거죠. <br> <br>그러다 보니 대우조선해양의 노조는 120명의 파업으로 회사가 막대한 손실을 입고 있다고 파업에 반발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거기다 대우조선 노조는 민주노총이 하청노조의 편을 든다면서 민주노총을 탈퇴하는 투표를 내일부터 이틀간 진행하겠다고까지 공지했습니다. <br><br>Q. 노조와 정부 모두 물리적 충돌까지 가기엔 부담을 느낀 것 같기도 하고요.<br> <br>=네. 협상 마지노선이 사실상 22일이었거든요. <br> <br>대우조선이 23일부터 2주 동안 일제히 여름 휴가에 들어가서 그 때를 넘기면 손해가 눈덩이처럼 커질 수 있는 겁니다. 그래서 노사 모두 그 전에 합의하자는 의지가 있는 것으로 보이고요. <br> <br>한편으로는 공권력 투입 가능성도 계속 언급되기는 했지만, 정부가 이를 실제로 집행하는 데는 부담이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. 대우조선 파업에 희망버스 등 시민단체 개입이 예고되면서 노사 갈등이 아닌 노동계와 정부의 대립으로 번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><br>Q. 하지만 타결이 되더라도 불씨가 완전히 끝난 건 아니라면서요?<br> <br>=앞서 리포트에서 보셨듯이 내년 임금인상률은 추후 논의하자는 쪽으로 가닥이 잡혀가고 있습니다. 문제는 내년에 같은 이유로 노사 갈등이 다시 생길 수 있다는 겁니다. <br> <br>또한 대우조선의 상황이 나아지지 않았는데 파업이 벌어졌기 때문에, 주인이 없는 대우조선의 새로운 인수자 찾기에도 난항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.<br> <br>지금까지 사회2부 황규락 기자였습니다.